본문으로 바로가기
목록으로
NEWS

필라테스 초보자를 위한 완벽 용어 가이드 - 수업 시간이 두렵지 않은 필수 용어 37개

"파워하우스를 사용해서 C-커브 만들어주세요!" - 이게 무슨 말이죠?

처음 필라테스 수업에 들어갔을 때, 강사님의 큐잉(지시)이 마치 외국어처럼 들렸던 경험, 있으신가요? "네이블 투 스파인", "임프린트", "뉴트럴 펠비스"... 주변 회원들은 자연스럽게 따라 하는데 나만 어리둥절하고 당황스러운 그 순간 말이죠.

📚 이 글에서 배울 내용

  • 필라테스 수업에서 가장 자주 듣는 기본 용어 37개
  • 리포머, 캐딜락 등 주요 장비 이름과 용도
  • 동작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해부학 용어
  • 클래식 vs 컨템포러리 필라테스 용어 차이
  • 바디다움에서 사용하는 실전 큐잉 예시

필라테스는 조셉 필라테스(Joseph Pilates)가 20세기 초에 개발한 운동 체계로, 단순히 몸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몸의 완벽한 조화를 추구합니다. 그래서 정확한 용어 이해가 특히 중요합니다.

Part 1: 수업에서 가장 많이 듣는 핵심 용어 20개

1. 파워하우스 (Powerhouse)

정의: 조셉 필라테스가 신체 중심부의 근육을 지칭하기 위해 만든 용어. 복부, 골반저 근육, 고관절 주변 근육, 등 근육을 포함하는 영역.

실전 큐잉: "파워하우스에서 힘을 끌어올려 다리를 들어주세요."

왜 중요한가? 필라테스의 모든 동작은 파워하우스에서 시작됩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필라테스를 할 수 없습니다.

2. 네이블 투 스파인 (Navel to Spine)

정의: 배꼽을 척추 쪽으로 당기는 동작. 복부를 수축시켜 코어를 활성화하는 기본 동작.

실전 큐잉: "배꼽을 척추 쪽으로 부드럽게 당기면서 복부를 안정시켜주세요."

3. 뉴트럴 스파인 (Neutral Spine)

정의: 척추의 자연스러운 S자 곡선을 유지하는 자세. 경추(목), 흉추(중간 등), 요추(허리)의 자연스러운 커브가 모두 유지된 상태.

실전 큐잉: "허리를 과도하게 아치하거나 평평하게 하지 말고, 자연스러운 커브를 유지해주세요."

왜 중요한가? 뉴트럴 스파인은 척추에 가장 효율적인 자세로, 충격 흡수와 하중 분산에 최적입니다.

4. 뉴트럴 펠비스 (Neutral Pelvis)

정의: 골반이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 누워있을 때 양쪽 골반뼈와 치골이 수평을 이루는 자세.

확인 방법: 손을 골반에 올려놓았을 때 양쪽 골반뼈가 같은 높이에 있어야 합니다.

5. C-커브 (C-Curve)

정의: 상체를 앞으로 둥글게 말아 알파벳 'C' 모양을 만드는 자세. 심부 복근을 사용해 척추를 굴곡시킵니다.

실전 큐잉: "복부를 깊이 끌어당기면서 등을 둥글게 C자 모양으로 만들어주세요."

6. 임프린트 (Imprint/Imprinting)

정의: 누운 자세에서 복부를 수축시켜 허리를 매트에 가볍게 밀착시키는 동작. 요추의 자연스러운 커브를 약간 평평하게 만듭니다.

실전 큐잉: "배꼽을 척추로 당기면서 허리를 매트에 부드럽게 눌러주세요."

⚠️ 주의: 임프린트는 초보자가 코어 연결을 배우는 도구입니다. 궁극적으로는 뉴트럴 스파인에서도 코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7. 아티큘레이션 (Articulation)

정의: 척추를 한 마디씩 순차적으로 움직이는 것. 각 척추뼈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유동성과 정밀함을 강조합니다.

대표 동작: 롤 업(Roll Up) - 누운 자세에서 일어날 때 척추를 한 마디씩 말아 올립니다.

8. 얼라인먼트 (Alignment)

정의: 머리, 어깨, 척추, 골반, 무릎, 발목 등 신체 각 부위가 서로 및 중력과의 관계에서 최적의 위치에 있는 상태.

왜 중요한가? 올바른 정렬은 올바른 근육 활성화를 보장하고 부상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9. 센터링 (Centering)

정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몸의 중심(파워하우스)에 집중하는 것. 필라테스 6대 원칙 중 하나입니다.

실전 적용: 모든 동작은 중심에서 시작해 사지로 에너지가 흘러나갑니다.

10. 컨트롤 (Control)

정의: 모든 동작을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능력. 조셉 필라테스는 자신의 운동법을 원래 "컨트롤로지(Contrology)"라고 불렀습니다.

핵심: 필라테스에서는 신체의 어떤 부분도 무의식적으로 움직여서는 안 됩니다.

11. 프리시전 (Precision)

정의: 각 동작을 세심한 주의와 정확한 정렬로 실행하는 것. 횟수보다 질이 중요합니다.

12. 플로우 (Flow)

정의: 동작 간의 부드럽고 연속적인 전환. 각 운동이 우아하게 다음 운동으로 이어집니다.

13. 브리딩 (Breathing)

정의: 필라테스의 기초 원칙. 특히 래터럴 브리딩(Lateral Breathing)을 강조합니다.

래터럴 브리딩: 숨을 들이쉴 때 갈비뼈가 옆으로 확장되고, 내쉴 때는 복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조셉 필라테스의 말: "호흡은 생명의 첫 번째 행위이자 마지막 행위다."

14. 오포지션 (Opposition)

정의: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뻗는 동작. 더 깊은 코어 근육을 활성화하고 신체에 길이를 만듭니다.

예시: 더블 레그 스트레치(Double Leg Stretch) - 팔은 머리 위로, 다리는 앞으로 뻗으며 반대 방향 긴장감을 만듭니다.

15. 스쿱 (Scoop/Scoop Abs)

정의: 심부 복근을 안쪽과 위쪽으로 당기는 동작. 마치 복부를 "퍼내듯이" 끌어올립니다.

실전 큐잉: "배를 허리띠에서 멀리 퍼내듯이 끌어올려주세요."

16. 필라테스 스탠스/필라테스 V (Pilates Stance/Pilates V)

정의: 발뒤꿈치를 붙이고 발끝을 약간 벌려 작은 'V' 자를 만드는 자세. 발레의 1번 포지션과 유사하지만 각도가 작습니다.

목적: 고관절의 약간의 외회전을 통해 내전근과 둔근을 활성화합니다.

17. 테이블탑 (Table Top)

정의: 누운 자세에서 무릎과 고관절을 90도로 구부린 자세. 허벅지는 바닥에 수직, 종아리는 천장과 평행합니다.

사용: 많은 매트 및 리포머 운동의 시작 자세입니다.

18. 박스 (Box - 신체)

정의: 어깨와 골반이 만드는 사각형 영역. 양쪽 어깨와 양쪽 골반을 연결한 네 점이 만드는 "박스"입니다.

실전 큐잉: "박스를 수평으로 유지해주세요" = 어깨와 골반을 평평하게 유지하라는 의미.

19. 수파인 vs 프론 (Supine vs Prone)

수파인(Supine): 등을 대고 누운 자세 (얼굴이 위)

프론(Prone): 배를 대고 엎드린 자세 (얼굴이 아래)

예시: 스완(Swan), 스위밍(Swimming)은 프론 자세에서 하는 운동입니다.

20. 플렉션 vs 익스텐션 (Flexion vs Extension)

플렉션(Flexion): 관절 각도를 줄이는 굽힘 동작 (예: 팔꿈치 구부리기)

익스텐션(Extension): 관절 각도를 늘리는 펴기 동작 (예: 팔꿈치 펴기)

Part 2: 해부학 관련 필수 용어 7개

1. 에이비덕션 vs 어덕션 (Abduction vs Adduction)

에이비덕션(Abduction): 팔다리를 몸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벌리는 동작

어어덕션(Adduction): 팔다리를 몸의 중심으로 모으는 동작

💡 암기 팁: "ADD" = 더하다 = 몸에 더하다 = 가까이 모으다

2. 안테리어 vs 포스테리어 (Anterior vs Posterior)

안테리어(Anterior): 신체의 앞쪽

포스테리어(Posterior): 신체의 뒤쪽

3. 래터럴 (Lateral)

정의: 신체의 옆쪽이나 측면을 의미합니다.

4. 미드라인 (Midline)

정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 중앙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 좌우 대칭의 기준선입니다.

5. 프로트랙션 vs 리트랙션 (Protraction vs Retraction)

프로트랙션(Protraction): 견갑골이 척추에서 멀어지며 등 위쪽이 둥글게 되는 동작

리트랙션(Retraction): 견갑골을 척추 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

실전 큐잉: "쇄골을 넓게 펴주세요" = 리트랙션을 유도하는 큐잉

6. 스캐퓰라 (Scapula)

정의: 견갑골(어깨뼈)의 해부학 용어. 견갑골의 올바른 위치와 움직임은 많은 필라테스 동작에서 중요합니다.

7. 플란타 플렉션 (Plantar Flexion)

정의: 발끝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동작. 발레의 "포인트" 동작입니다.

반대: 도시플렉션(Dorsiflexion) - 발끝을 위로 당기는 동작

Part 3: 필라테스 장비 용어 10개

1. 리포머 (Reformer)

필라테스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 침대 모양의 프레임 위에서 캐리지가 스프링 저항으로 앞뒤로 움직입니다. 다양한 자세에서 수백 가지 운동이 가능합니다.

역사: 조셉 필라테스가 침대 프레임과 스프링으로 환자 재활용으로 처음 만들었습니다.

2. 캐딜락/트라페즈 테이블 (Cadillac/Trapeze Table)

침대 위에 금속 프레임이 있는 장비. 다양한 바, 스트랩, 스프링이 매달려 있어 보조 스트레칭부터 고난도 곡예 동작까지 가능합니다.

용도: 재활 및 고급 수련자 모두에게 유용합니다.

3. 운다 체어/필라테스 체어 (Wunda Chair/Pilates Chair)

작고 컴팩트한 장비. 쿠션이 있는 작은 의자와 스프링 페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하체 근력과 균형을 강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4. 래더 배럴 (Ladder Barrel)

둥근 배럴과 사다리가 결합된 장비. 주로 척추 스트레칭과 유연성 운동, 척추 신전근 강화에 사용됩니다.

5. 스파인 코렉터/스몰 배럴 (Spine Corrector/Small Barrel)

작은 배럴 형태의 소품. 척추의 자연스러운 커브를 지지하고 자세와 유연성, 코어 근력을 향상시킵니다.

6. 매직 서클/필라테스 링 (Magic Circle/Pilates Ring)

가볍고 유연한 링 모양의 소품. 매트나 리포머 운동에 저항이나 지지를 추가하여 내전근, 팔, 코어를 타겟합니다.

7. 박스 (Box - 리포머용)

리포머 위에 올려놓는 패딩 처리된 직사각형 박스. 상체나 골반을 지지하거나 운동 난이도를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8. 점프보드 (Jumpboard)

리포머 끝에 부착하는 패딩 보드. 누운 자세에서 플라이오메트릭(점프) 운동을 할 수 있어 유산소 요소를 추가합니다.

9. 폼롤러 (Foam Roller)

원통형 폼 소품. 자가 근막 이완(셀프 마사지)과 균형 및 코어 안정성 운동에 사용됩니다.

10. 스태빌리티 볼/오버볼 (Stability Ball/Overball)

큰 공기주입식 볼(스태빌리티 볼)이나 작고 부드러운 볼(오버볼). 균형 도전과 코어 활성화, 다양한 운동에 활용됩니다.

Part 4: 클래식 vs 컨템포러리 필라테스

🎩 클래식 필라테스 (Classical Pilates)

  • 조셉 필라테스의 원본 동작과 순서를 엄격히 따릅니다
  • 매트와 리포머 운동은 특정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 조셉 필라테스가 설계한 오리지널 장비만 사용합니다
  • "컨트롤로지(Contrology)"라는 원래 이름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전통적인 용어와 큐잉을 고수합니다

🔬 컨템포러리 필라테스 (Contemporary Pilates)

  • 클래식 원칙을 존중하되 현대 운동과학을 통합합니다
  • 생체역학과 재활 원리를 반영합니다
  • 개인의 필요와 체력 수준에 맞게 유연하게 조정합니다
  • 저항 밴드, 폼롤러 등 새로운 도구를 활용합니다
  • 더 설명적이고 현대적인 용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바디다움의 접근: 바디다움은 클래식 필라테스의 탄탄한 기초 위에 현대 해부학 지식을 결합합니다. 10년 이상 경력의 물리치료사가 해부학을 가르치기 때문에, 전통적인 동작의 "왜"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용어를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 1. 수업 이해도 향상

강사의 큐잉을 정확히 이해하면 동작을 올바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네이블 투 스파인"이 무엇인지 알면 즉시 복부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2. 부상 예방

"뉴트럴 스파인"의 의미를 모르면 허리를 과도하게 아치하거나 평평하게 만들어 부상 위험이 높아집니다.

✅ 3. 운동 효과 극대화

"파워하우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면 단순히 팔다리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코어에서 시작하는 진짜 필라테스를 할 수 있습니다.

✅ 4. 자신감 향상

용어를 알면 수업 시간이 덜 두렵고,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 5. 지도자 과정 준비

필라테스 강사가 되고 싶다면 이 용어들은 필수입니다. 바디다움 지도자 과정에서는 이 모든 용어를 해부학적으로 깊이 있게 배웁니다.

바디다움에서는 용어를 어떻게 가르치나?

🎓 이론과 실습의 완벽한 조화

1. 해부학 기반 설명

10년 이상 경력의 물리치료사가 각 용어를 해부학적으로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파워하우스"라고만 하지 않고, 복횡근, 다열근, 골반저근의 협응 작용을 구체적으로 이해시킵니다.

2. 즉각적인 실습

용어를 배우자마자 바로 몸으로 체험합니다. "뉴트럴 스파인"을 설명하고 나면 즉시 자신의 척추를 만져보며 확인합니다.

3. 개별 교정

소수정예(8-12명) 교육이기 때문에 각자가 "C-커브"를 제대로 만들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고 교정합니다.

4. 한글-영어 병행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영어 용어와 한국어 설명을 함께 제공하여, 어디서든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준비를 합니다.

5. 실전 큐잉 연습

지도자 과정 교육생은 이 용어들을 사용해 직접 큐잉을 연습합니다. 모의 수업을 최소 3회 진행하며 자연스럽게 용어를 체화합니다.

초보자를 위한 학습 팁

📝 1. 수업 노트 만들기

수업 후 새로 배운 용어를 간단히 메모하세요. "오늘 배운 용어: 임프린트 = 허리를 매트에 살짝 밀착"

🗣️ 2. 강사에게 질문하기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수업 전후에 강사에게 꼭 물어보세요. 바디다움 강사들은 항상 친절히 설명해드립니다.

🎥 3. 온라인 자료 활용

집에서 용어를 복습할 때는 이 글을 북마크해두고 참고하세요.

💪 4. 꾸준한 연습

용어는 한 번에 외우는 것이 아닙니다. 수업을 들으며 자연스럽게 익숙해집니다. 최소 10회 정도 수업을 들으면 기본 용어는 몸에 배게 됩니다.

🧘‍♀️ 5. 마인드풀하게 연습

필라테스는 "컨트롤로지" - 의식적인 조절입니다. 각 동작을 할 때 해당 용어를 머릿속으로 떠올리며 연습하세요.

결론: 용어는 도구, 목적은 건강한 몸

필라테스 용어는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은 우리 몸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움직이기 위한 소통의 도구입니다. 의사가 해부학 용어를 사용하듯, 필라테스도 정밀한 움직임을 위해 정확한 언어가 필요합니다.

💡 기억하세요

  • 용어를 모두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 수업을 들으며 자연스럽게 익힙니다
  • 모르는 것은 부끄러운 게 아닙니다 - 질문하는 것이 성장의 지름길입니다
  • 용어는 수단이지 목적이 아닙니다 - 궁극적 목표는 건강하고 균형 잡힌 몸입니다
"필라테스는 몸의 완전한 조화를 추구합니다.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그 조화를 이루는 첫걸음입니다."
- 조셉 필라테스

필라테스가 처음이라 용어가 낯설고 두려우신가요? 바디다움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합니다. 수업 중 언제든 질문하시고, 이 용어집을 참고하시면서 자신감 있게 필라테스를 시작하세요!

바디다움 필라테스 지도자 과정 안내

실전에 강한 강사로 성장하고 싶다면,
바디다움에서 시작하세요.

총 교육 시간

175시간 (이론심화 30시간 포함)

교육 방식

소수 정예

특별 혜택

평생 온라인 해부학 무료 + 세미나 30% 할인

사후관리

졸업생 커뮤니티 + 무료 리뷰 클래스

2026년 1월 개강반 모집 중

평일반 (월, 수 10:00-13:00)
평일반 일정
주말반 (매주 일 09:00-14:00)
주말반 일정
  • 위치: 9호선 언주역 5번 출구 도보 3분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38길 12 3층

02-2135-2796 | 카카오톡: stpilates

*방문 상담은 예약제로 진행됩니다

바디다움 교육 일정

전문 지도자 과정 일정을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교육 일정 확인하기

바디다움과 더 가까이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바디다움의 최신 소식과 유용한 건강 정보를 만나보세요.